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전환사채 뜻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이유
    주식,경제 2023. 6. 30. 08:56

    전화 사채란?

    전환사채는 채권인데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입니다. 채권은 만기까지 보유하면 이자도 받고 원금도 돌려받을 수 있는 안전한 투자자산입니다. 예금과 비슷한 상품이죠. 전환사채란 이 채권을 주식으로도 바꿀 수 있는 권한이 부여된 상품입니다. 금리는 낮지만 일정기간이 지난 후에는 주식으로 전환해서 시세차익을 낼 수 있습니다.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환사채는 주가에 악재로 작용합니다. 전환사채 투자자는 발행일로부터 1년 후에는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해서 매도할 수 있습니다. 발행가 보다 높으면 수익이 되는 것이지요. 

    전환사채 CB라고 써있는 이미지 입니다.
    전환사채 CB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이유

    •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가장 큰 이유는 낮은 이자율 덕분입니다.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채권인만큼 회사가 부담해야 하는 이자율이 낮습니다. 
    • 두 번째 이유는, 전환사채는 일반 회사채(부채)와 다르게 사람들에게 채권을 주식으로 바꿀 수 있는 권리를 주기 때문에 사람들이 전환사채를 주식으로 바꾼다면 이 회사는 회사채로 발행했으면 갚아야 할 돈을 갚지 않아도 되는 것입니다.
    • 결론적으로 낮은 이자율로 돈을 빌릴 수 있고, 이 빌린 돈을 잘 운영해서 주가를 부양하기만 한다면 사람들은 이자율이 낮은 채권이 아닌 바꾸면 바로 수익인 주식으로 전환할 것이고, 그러면 회사는 갚아야 했을 돈을 갚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회사 입장에서는 전환사채를 발행하는 것이 이득입니다. 물론 주주입장에서는 달갑지 않은 소리지만요.

    그 외 기업이 발행하는 사채 종류

    1. 신주인수권부 사채는 전환사채와 비슷합니다. 하지만 확실한 차이점이 존재하죠. 전환사채는 주식으로 전환하면 채권의 형태는 소멸됩니다. 이 와달리 신주인수권부 사채는 채권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투자자가 원할 경우 약정한 가격에 신주를 매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상품입니다. 채권을 보유하면서 주식까지 받을 수 있는 옵션이 부여된 것이지요. 신주인수권부사채는 두 가지 유형이 있습니다 분리형과 비분리 형입니다. 분리형은 투자자가 신주를 받았을 때 받은 주식을 매각해도 채권은 그대로 남아있는 형태입니다. 주식과 채권이 완전히 분리된 상품이죠. 비분리형은 신주를 받았을 때 받은 신주를 매각하면 채권도 소멸되는 형태입니다. 주식과 채권을 분리할 수 없는 겁니다.
    2. 교환사채는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다른 기업의 주식이나 자사주로 교환할 수 있는 권리가 부여된 채권입니다. 전환사채와 신주인수권부 사채와는 다르게 신주를 발행하지 않고 기존에 기업이 가지고 있는 주식을 투자자에게 주기 때문에 주식수가 증가하지 않아서 주가에 악재로 작용하지 않습니다. 
    차이점

    전환사채란 채권인데 주식으로 전환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상품, 주가에는 악재입니다(주식수가 늘기 때문). 신주인수권부 사채는 주식과 채권을 동시에 보유할 수 있는 상품입니다. 전환사채는 채권을 주식으로 전환하는 순간 채권은 사라지는데 신주인수권부 사채는 그렇지 않습니다 이것 또한 주가에는 악영향입니다.

    교환사채란 기업이 보유한 자사주로 채권을 주식으로 교환할 수 있는 권리가 있는 상품 주가에는 악영향을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 사채와는 다르게 교환사채는 주가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습니다.

    정리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 사채는 낮은 금리로 많은 자금을 유치할 수 있어 기업들이 선호하고 좋아하는 자금 조달 방식 중에 하나입니다. 하지만 주식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주주 입장에서는 반가운 소식이 될 수 없죠 이러한 채권의 발행은 주주가치를 크게 훼손시킵니다. 그래서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를 자주 발행하는 기업은 웬만하면 피하는 것이 좋은 방법이라고 할 수 있겠습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