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미국 재무제표 보는 법(PER,PSR,PBR,EV/Sales)
    주식,경제 2023. 7. 4. 08:56

    (PER) P/E Ratio란?

    우리나라에서 PER이라고 불리는 지표입니다.  주식의 주식 가격이 기업의 순이익 대비 얼마나 과소평가되었는지, 과대평가되었는지 판단하는 데 사용되는 중요한 지표 중 하나입니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P/E Ratio= 가격/주당 순이익(EPS)

    예를 들어 10000원인 주식이 있고 그 주식의 EPS가 500원이라면 P/E Ratio= 20이 됩니다.

    높은 P/E Ratio는 투자자들이 해당 회사의 현재 이익에 프리미엄을 지불하고 있다는 것을 간접적으로 말해줍니다. 하지만 기술주같이 우리가 미래가치를 보고 투자하는 회사들에게는 이 P/E Ratio가 잘 들어맞지 않습니다. P/E Ratio가 터무니없이 높아도 잘 올라가는 주식들도 많죠 또한 자동차같이 경기순환 사이클이 있는 산업은 가격이 높을 때는 P/E Ratio가 낮고 가격이 낮을 때는 P/E Ratio가 높을 때도 많습니다. 그렇기에 이 P/E Ratio지표를 너무 맹신해서는 안됩니다.

     

    PSR이란?

    Psr이란 주가 매출액 비율로 주식의 가격을 기업의 매출액과 비교하여 평가하는 재무 지표입니다. 기업의 주가가 매출액과 비교해 얼마나 고평가 또는 저평가되었는지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계산식은 주가 매출액 비율=시가총액/총매출액입니다. 이 비율은 기업의 수익성과 이익 여부를 고려하지 않고 오로지 매출액만을 고려하여 주식의 가격을 분석합니다. 이로 인해 주식 시장에서 어떤 기업들의 순익이 불안전하거나 음수 즉 적자여도 분석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PBR 이란?

    PBR은 기업의 주식 시가초액을 기업의 순자산과 이익 잉여금 등을 합친 총자산에 대해 비교하여 기업의 주식이 고평가 되었는지, 저평가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데 사용됩니다. PBR의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PBR=주가/주당순자산가치(주당순자산가치=총 자산/발행주식수로 계산됩니다.)입니다.

    PBR이 1보다 작으면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 보다 적게 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으며, 이 경우 주식이 저평가되었다고도 볼 수 있습니다. 반대로 1보다 크다면 주가가 기업의 순자산보다 높게 평가되었다고 볼 수 있지만 꼭 고평가 되었다고 할 수는 없습니다. 당장이 기업이 가지고 있는 자산을 보는 지표이기 때문입니다. 당장 이 기업이 자산은 많이 없어도 성장 산업에 있고 매출액과 영업이익 순이익등이 높다면 충분히 좋은 주식이라고 볼 수 있기 때문입니다. 위에 나열한 지표들도 그렇고 PBR지표도 그렇고 각각 하나의 지표만 봐서는 주식의 가치를 잘 분석할 수 없습니다. 그렇기에 모든 지표를 종합적으로 봐야 하는 것이지요.

    EV/Sales란?

    EV/Sales란 Enterprise Value 즉 기업가치를 해당 기업의 매출액으로 나눈 비율을 말합니다. Enterprise Value이란 기업의 시가총액에 기업의 현금 및 현금 등가물을 더하고, 기업의 부채를 차감하여 구합니다. 이렇게 함으로 써 기업의 현금 보유액과 부채를 고려하여 보다 정확한 가치 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 계산식은 다음과 같습니다 EV/Sales=Enterprise Value/매출액. EV/Sales지표는 기업의 가치를 매출액에 상대적으로 비교하여 분석합니다. 일반적으로 낮은 EV/Sales 비율은 기업의 주식이 저평가되었다고 간주될 수 있으며, 높은 비율은 주식이 고평가 되었다고 간주될 수 있습니다(아까도 말했듯이 여러 지표를 조합해보아야 합니다. 한 가지 지표만 보고 주식이 저평가되었다 고평가 되었다 보는 것은 전쟁터에 가는데 헬멧하나만 쓰고 온 거나 마찬가지입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