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주식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하는 주식 매매 기법 세 가지주식,경제 2023. 8. 9. 09:50
주식 매매 기법 첫 번째: ABCD 패턴
- ABCD패턴:굉장히 유명한 패턴이고 기본적이며 쉬운 패턴 중 하나입니다. 그렇기에 주식을 처음 하시는 분들이나 시작하신 지 얼마 안 된 중급자들이 사용하기 좋은 매매 기법이죠. 이 패턴은 오랫동안 알려졌지만 아직도 효과가 있는 매매 기법이니 이 글을 보신 후 실전에서 소액으로 꼭 연습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ABCD패턴의 이름이 ABCD인 이유는 'A:상승, B:고점을 찍은 후 하락, C눌림목, 저점, D: 재상승'의 형태를 뛰어서 이름이 ABCD패턴입니다.
- 매수 지점과 손절지점, 익절지점: 표를 보시는 것과 같이 매수 지점은 전고점을 돌파할 때 들어가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C 지점에서 반등을 주고 양봉을 그렸을 때 C지점의 최 저점을 잡고 들어가는 것도 좋은 방법 중에 하나입니다. 손절지점은 C의 반등 구간에서 바로 진입했다면 C의 최저점을 깨는 순간 바로 손절을 해야 합니다. B, 즉 전고점을 뚫은 후 진입하셨다면 전고점을 뚫고 긴 윗꼬리를 달고 내려온 후 음봉을 만드는 순간 손절해야 합니다. 우리나라 주식시장에서 10시 이전에 주식 매매를 하시는 분들은 아시겠지만 전고점을 돌파하는 순간 매수하는 것은 큰 리스크를 지는 것이기 때문에 보수적으로 보셔야 합니다. 익절 지점은 표와 같이 처음 잡아 놓았던 매매 계획과 같은 예를 들어 3%면 3%, 2%면 2%에서 절반 익절 해주시면 되고 나머지는 자신의 손익 분기점까지 끌어올려서 수익을 극대화시키는 방법이 좋습니다.
- 몇 분봉을 봐야 하나: 일단 1분 봉, 5분 봉등 여러 가지 분봉에서 활용이 가능합니다. 개인적인 성향에 달린 문제입니다. 좀 더 짧고 빠르게 수익이든 손실이든 확정 짓고 싶으신 분들은 1분 봉이 더 맞을 수 있고, 그렇지 않으신 분들은 5분 봉 이 맞을 수 있습니다. 물론 이 패턴이 나올 때까지 차분히 기다려야 하는 것은 어느 분봉을 보든 똑같습니다.
ABCD패턴 이동평균선 매매 기법
- 이동평균선 매매 기법: 이 매매 기법 또한 굉장히 유명한 매매 기법이고 일반적입니다. 기본적으로 특정 이동평균선들은 지지선이나 저항선의 역할을 합니다. 단기 매매에서, 분봉에서는 5일선, 10일선, 20일선을 주로 사용합니다. 이동평균선 종류도 단순 이동평균선이 있고, 지수 이동평균선이 있는데 그 내용은 제가 따로 설명해 둔 글이 있어서 링크 띄어 놓을 테니까 궁금하신 분들은 들어가서 보시면 되겠습니다. 저는 트레이딩 할 때는 주로 지수 이동평균선을 사용합니다. 그 이동평균선이 지지난 저항이 조금 더 잘 일어나는 경향이 있는 것 같다고 개인적으로 느끼기 때문입니다. 또 하나의 꿀팁을 드리자면 이동평균선 매매 기법은 5분 봉에서 좀 더 맞는 경향이 있습니다. 1분 봉에서는 페이크가 너무 많아서 인데, 여러분이 1분 봉 5분 봉 직접 써 보시고 나에게 좀 더 잘 맞는 분봉을 사용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우리나라에서 3분 봉도 굉장히 많이 쓰이는 분봉이지만 저는 3분 봉을 쓰지 않아서 제외시켰습니다. 3분 봉을 쓰시는 분들이 있다면 3분 봉도 추가시켜서 같이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2023.08.08 - [분류 전체 보기] - 이동평균선이란? 이동평균선 단순, 지수, 가중 차이점
이동평균선이란? 이동평균선 단순,지수,가중 차이점
이동평균선이란? 이동평균선이란 말 그대로 평균값을 의미합니다. 단기 이동평균선이라고 불리는 5일 이평선으로 예를 들자면, 5 이동평균선은 이 기업의 5 영업일 즉 1주일 동안의 평균값을 나
economy-10000.tistory.com
매수지점, 손절지점, 익절지점: 매수 지점을 설명하기 전에 어떤 종목에서 사용해야 되는지부터 말씀드리겠습니다. 그날 시장시장의 재료가 있고 거래량, 거래대금이 터지는 종목에서 사용하시고, 그 전날 또는 이전에 거래량, 거래대금이 터지면서 상승했던 날들을 보면서 어느 이동평균선에서 지지가 잘 일어나는지(10일 이동평균선 혹은 20일 이동평균선 등) 살피셔야 합니다. 만약 이동평균선에서도 지지가 일어나지 않았다면 다른 종목을 찾으셔야 합니다. 그 종목은 이동평균선 매매 기법을 대입하기 그리 좋은 종목은 아닌 것이지요. 만약 그날 매매 종목을 찾으셨다면 그 종목이 이동평균선에 반응하는지 다시 한번 지켜봅니다. 그 후 반응을 해서 확증이 되면 그 특정 이동평균선과 최대한 가까운 지점에서 매수하시면 됩니다. 손절지점은 이동평균선이 완벽하게 깨진 봉에서 탈출합니다. 익절은 이동평균선이 하방으로 뚫릴 때입니다. 이때 탈출하시는 것도 방법이지만 깨지면 손쓸 틈도 없이 갑자기 급락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적당히 수익이 났다 싶으실 때 절반을 매도하시고 이동평균선이 하방으로 깨질 때 나머지 물량을 정리하시는 방법을 추천드리겠습니다.
마지막으로 소개해드릴 매매 기법은 제가 사용하고 있는 매매 기법입니다.
- 나의 매매 기법:제가 사용하고 있는 매매 기법은 누구에게 따로 배운 것이 아니라 제가 스스로 차트를 돌려가면서 스스로 익힌 매매 기법입니다. 이 기법은 1 분봉에서 사용가능합니다. 개인적으로 아침에 활발한 시장을 적극 활용하고 싶은 마음에 만든 매매 기법입니다. 저는 이 매매 기법을 주 매매기법으로 사용하고 있고 계속 개발하고 있습니다.
- 매수 지점, 손절 지점, 익절 지점: 우선 제가 사용하고 있는 매매 법은 장시작 1분 후에 진입이 결정되고 그 후 1~5분 사이에 절반 또는 전부에 익절 또는 손절이 이루어집니다. 매수 종목을 고를 때가 이 매매 기법에 핵심인데, 일봉상의 좋은 차트 패턴을 알고 계셔야 합니다. 몇 가지 예를 들어, 1년 신고가 영역이라던지, 역사적 신고가 영역 같은 곳에서 이 기법을 사용하시면 됩니다. 이런 종목을 찾으려면 검색기를 사용하셔야 하는데 이 글을 여기까지 읽고 검색기 수식을 보여달라고 댓글에 달아주시는 분이 있다면 검색기 수식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하여튼 매수 지점은 아까 말한 저런 일봉상의 차트 패턴에서 첫 1분 봉의 차트상에 윗꼬리가 너무 길지 않고, 아랫꼬리가 살짝 있는 종목이 좋습니다.(아랫꼬리는 있으면 플러스 점수를 주지만 없어도 크게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그 후 그다음 봉에서 바로 매수를 합니다. 손절지점은 들어간 시점의 1분 봉이 끝날 때까지 기다리신 후 그 봉이 음봉으로 끝났다면 손절하시고 양봉으로 끝났다면 조금 더 들고 가시면 됩니다. 익절 지점은 3%에서 절반을 익절 해주시고 나머지 절반은 손익 분기점으로 손절라인 맞춰주시고, 5%든 8%든 10%든 원하시는 수익권에서 자유롭게 매도해 주시면 됩니다. 제가 매매했던 예시를 보여드리도록 하겠습니다.(더 많은 예시를 보여달라고 하시면 따로 글을 올리도록 하겠습니다.)
LS네트웍스를 제가 실제로 매매 한 예시 마치며
세 가지 매매 기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위의 방법들 모두 제가 직접 사용해 본 매매 기법들입니다. 저는 그중에서도 1번이 처음에 마음에 들어서 사용하다가 3번 매매 기법을 만들어서 지금도 이 기법으로 수익을 내고 있습니다. 여러분도 한 가지의 매매 기법으로 연습을 하다가 그 매매 기법과 비슷한 자신만의 매매 기법을 만들기를 바랍니다. 자신만의 매매 기법을 만들고 그 매매 기법으로 수익을 내는 경험만큼 좋은 경험이 없는 것 같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주식,경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사상 가장 돈이 많았던 인물 존 데이비슨 록펠러 (0) 2023.08.11 2023년 애플 배당금, 애플 배당금 역사 (0) 2023.08.11 직접 읽어보고 추천하는 주식 책 3권 (0) 2023.08.09 이동평균선이란? 이동평균선 단순,지수,가중 차이점 (0) 2023.08.08 적정 주가 구하는 공식 총 정리 (0) 2023.08.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