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
역사상 가장 돈이 많았던 인물 존 데이비슨 록펠러주식,경제 2023. 8. 11. 23:12
역사상 가장 돈이 많았던 인물 역사상 가장 돈이 많았던 사람은 미국의 석유왕이라 불리며, 19세기부터 20세기 초 까지 활동했던 인물인 존 데이비슨 록펠러입니다. 그는 1866년 석유 사업에 뛰어든 후 미국 석유에 90% 이상을 독점하면서 독점왕이라는 별명으로도 불렸습니다. 그가 가장 많은 재산을 소유했던 시기라고 알려진 사망 직전의 재산을 현재 가치로 환산하면 4000억 달러 정도로 평가됩니다. 한화 약 500조가 넘는 천문학적인 액수입니다. 존 데이비슨 록펠러 18세였던 그가 처음 들어간 직장에서 월급이 너무 적자 그는 1858년 은행에서 돈을 끌어다 처음으로 식료품등을 파는 사업이었습니다. 이 사업으로 꽤 많은 돈을 번 록펠러는 1866년부터 석유 사업으로 눈을 돌리게 됩니다. 처음부터 록펠러가 석..
-
2023년 애플 배당금, 애플 배당금 역사주식,경제 2023. 8. 11. 08:12
2023년 애플 배당금 2023년 1분기 애플의 배당락일은 2월 10일(배당락일이란 배당을 받으려면 배당락일까지 주식을 사서 가지고 있어야 한다는 뜻입니다.) 이였습니다. 배당 지급일은 2월 16일이었습니다. 배당 수익률은 0.61%였습니다. 주당 배당금은 0.23달러였습니다. 2023년 2분기 애플의 배당락일은 5월 12일이었고, 배당 지급일은 5월 18일이었습니다. 배당 수익률은 0.55%였습니다. 주당 배당금은 0.24달러였습니다. 2023년 3분기 애플의 배당락일은 8월 11일이었고, 배당 지급일은 8월 17일입니다. 배당 수익률은 0.54%입니다. 주당 배당금은 0.24달러로 결정됐습니다. 애플 배당금 역사 애플은 1987년 2분기부터 배당 지급을 시작했습니다. 그렇게 분기 배당을 꾸준히 해오다..
-
모기 멸종이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카테고리 없음 2023. 8. 10. 09:51
모기가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 (이 글에서 '모기'라는 표현은 흡혈 모기를 말합니다.) 모기는 인간을 가장 많이 죽이는 생명체로도 많이 알려져 있습니 모기가 연간 죽이는 사람의 숫자만 해도 70만 명 이상입니다. 모기는 말라리아, 뎅기열, 자카 바이러스 등을 옮기는 매개체입니다. 대한민국에도 말라리아를 옮기는 중국얼룩 날개 모기와 일본 뇌염을 옮기는 작은 빨간집모기 등이 있지만, 예방접종으로 예방하거나 감염이 돼도 중증 증상까지 가지 않기 때문에 사람의 목숨을 위협하는 경우는 크게 없습니다. 문제는 예방접종을 하지 못하는 나라들이 속한 대륙들입니다. 대표적으로 아프리카, 남아메리카 등이 있습니다. 이 대륙들의 나라들은 예방 접족을 할 수 없는 사람들이 대부분입니다. 그래서 연간 60만 명 이상의 사람들이 ..
-
유전자 조작 이란? 유전자 조작으로 가능한 것들카테고리 없음 2023. 8. 9. 23:37
유전자 조작이란? 유전자 조작 기술은 특정 생물의 유전자를 다른 생물의 유전자에 삽입하거나 특정 생물의 유전자를 제거하는 기술을 말합니다. 유전자 재조합 기술이라고도 불립니다. 이 유전자 재조합 기술은 유전자 가위라는 것이 필요합니다. 유전자 가위란 DNA를 잘라서 제거하거나 다른 생물에게 유전자를 삽입할 때 사용하는 도구입니다. 유전자 조작으로 가능한 것 첫 번째 모기 멸종 (이 글에서 말하는 모기는 흡혈 모기를 얘기하는 것입니다. 모기는 많은 종류가 있는데 그중에서 사람을 물지 않는 모기도 많이 있습니다.) 암컷 모기는 사람을 물어 사람들에게 치명적인 바이러스나 기생충등을 옮깁니다. 실제로 아프리카와 같은 의료시설이 좋지 못한 나라에서는 연마다 수 십만 명의 사람을 죽음으로 몰아넣고 있습니다. 이런 ..
-
주식 투자자라면 꼭 알아야 하는 주식 매매 기법 세 가지주식,경제 2023. 8. 9. 09:50
주식 매매 기법 첫 번째: ABCD 패턴 ABCD패턴:굉장히 유명한 패턴이고 기본적이며 쉬운 패턴 중 하나입니다. 그렇기에 주식을 처음 하시는 분들이나 시작하신 지 얼마 안 된 중급자들이 사용하기 좋은 매매 기법이죠. 이 패턴은 오랫동안 알려졌지만 아직도 효과가 있는 매매 기법이니 이 글을 보신 후 실전에서 소액으로 꼭 연습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ABCD패턴의 이름이 ABCD인 이유는 'A:상승, B:고점을 찍은 후 하락, C눌림목, 저점, D: 재상승'의 형태를 뛰어서 이름이 ABCD패턴입니다. 매수 지점과 손절지점, 익절지점: 표를 보시는 것과 같이 매수 지점은 전고점을 돌파할 때 들어가시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하지만 C 지점에서 반등을 주고 양봉을 그렸을 때 C지점의 최 저점을 잡고 들어가는 것도 ..
-
직접 읽어보고 추천하는 주식 책 3권주식,경제 2023. 8. 9. 02:25
주식 책을 읽어야 하는 이유 주식을 공부하는 방법은 크게 주식 유튜브를 보거나, 블로그를 보거나, 책을 보는 방법 정도로 나눌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우 선 유튜브는 좋은 정보들도 있지만 그렇지 않은 정보들도 많이 있습니다. 그렇기에 우리는 이런 정보들을 걸러 들어야 하는데 그러기가 쉽지 않죠. 우리의 시간이 아깝기도 하고요. 블로그는 우리가 모르는 사람들이 주는 정보입니다. 그 사람이 어떤 사람인지도 모르고 그 정보가 신뢰할 만한 정보인지도 모르죠. 설령 그 정보가 사실이 아니라고 해도 그 블로거가 져야 할 책임은 그리 크지 않습니다. 한마디로 믿을 수 없는 거죠. 마지막으로 책을 보는 방법입니다. 물론 이 방법도 단점이 있습니다. 서점을 가서 책을 고르다 보면 정말 표지만 화려하고, 내용은 없는 불쏘..
-
이동평균선이란? 이동평균선 단순,지수,가중 차이점주식,경제 2023. 8. 8. 09:27
이동평균선이란? 이동평균선이란 말 그대로 평균값을 의미합니다. 단기 이동평균선이라고 불리는 5일 이평선으로 예를 들자면, 5 이동평균선은 이 기업의 5 영업일 즉 1주일 동안의 평균값을 나타냅니다. 5일 동안 차례로 11000원, 12000원, 13000원, 14000원, 15000원의 주가를 만들었다면 이 기업의 단순 5일 이동평균선의 값은 13000원이 됩니다. 만약 주가가 5일 이동평균선위에 있다면, 13000원보다 높은 주가가 위치해 있다면 5일간 이 주식을 거래한 투자자들은 수익 중이라는 이야기입니다. 사람들이 주로 사용하는 이동평균선 사람들은 주로 5일, 10일, 20일, 60일, 120일, 240일(또는 200일을 사용하시는 투자자 분들도 계십니다. 한국에서는 240일선을 더 많이 사용합니다..
-
적정 주가 구하는 공식 총 정리주식,경제 2023. 8. 8. 00:57
적정 주가를 구해야 하는 이유 우선 우리가 가치투자를 하기 위해서는 그 기업이 가지고 있는 가치를 평가해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 재무제표상에서의 가치, 그 기업이 가지고 있는 경제적 해자의 가치, 기업의 성장성에 대한 가치, 경영진들의 대한 가치를 매겨야 합니다. 여기서 기업의 경제적 해자에 대한 가치 판단은 실제로 그 기업의 제품을 써 보거나 그 제품에 대한 평가를 듣거나 하는 방법으로 판단할 수 있고(또는 매출 총이익률이라는 지표를 가지고도 판단을 해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그 방법이 확실하다고는 장담하지 못하기에 경제적 해자에 대한 판단은 정말 개인이 공부를 해서 판단하는 개인의 영역이라고 밖에 설명드리지 못하겠습니다.) 경영진들에 대한 판단 같은 경우는 유튜브에서 기업의 경영진이 나온 인터뷰 같..